Surprise Me!

[뉴스초점] 반복되는 집중 호우 피해…대처 방법은?

2022-08-16 7 Dailymotion

[뉴스초점] 반복되는 집중 호우 피해…대처 방법은?<br /><br /><br />폭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다시 집중호우가 쏟아져 추가 피해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충청 이남에서 강한 비가 쏟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, 해결책은 없는지 관련 내용 이야기 나눠봅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지난주 내린 폭우에 대한 복구가 채 완료되기도 전에 큰 비가 예상되면서 비상이 걸렸는데요, 토양이 이미 물을 잔뜩 머금은 상태여서 적은 양의 비에도 토사 유출이나 지반 붕괴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이런 경우 우선적으로 어떤 부분에 대한 점검이 가장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충청권과 전라권 산사태 위기경보가 관심에서 '주의'로 상향되기도 했는데, 산사태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전조 징후 같은 게 있을까요? 대피 요령도 함께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폭우와 함께 강풍에 대한 대비도 필요해 보입니다. 강원 산간과 제주도 등에 강풍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, 초속 25m 안팎의 소형 태풍급 바람이 분다고 하는데요. 시설물 관리에 있어 특별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있다면요?<br /><br /> 한편 폭우로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던 이들이 탈출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, 서울시에서 주거 목적의 지하, 반지하 건축을 불허하기로 했죠. 이런 대책, 방재 전문가로서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반지하가 침수되었을 경우 무엇보다 신속한 대피가 중요해 보이는데요. 반지하의 방범창은 탈출에 방해가 되기도 하잖아요? 대피 요령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서울시는 지난 2015년 강남 일대 배수 시설을 개선했지만, 이번처럼 시간당 110㎜가 넘는 폭우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.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 이상기후로 인해 강수량이 급격히 늘어난 경우 기존의 인프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데 이런 부분에 대한 대비가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됩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특히 폭우 상황에선 감전이나 낙뢰도 조심해야 될 것 같습니다. 서울 동작구에서 폭우에 쓰러진 가로수를 정리하던 구청 직원이 감전돼서 사망하는 일도 있었는데요. 감전사고와 같은 2차 사고 방지를 위해 주의해야 할 안전 수칙이 있다면 알려주시죠.<br /><br /> 이렇게 폭우가 쏟아질 때, 운행하던 차량이 갑자기 침수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? 물의 압력 때문에 차량 문을 열기가 어렵다면 운전자 입장에선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거든요.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이번 폭우 때 맨홀에 사람이 빠지는 사고도 발생했는데요. 서울에 설치된 맨홀만 62만개가 넘는다고 하는데, 사고를 방지하려면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비가 많이 올 때 개인적으로 주의해야 할 안전수칙 가운데 꼭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면 알려주시죠.<br /><br />#집중호우 #토사유출 #산사태 #강풍주의보 #침수 #감전_낙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